‘왜어유해(倭語類解)’ 편에서는 맨 윗줄에 영어 단어를, 다음 줄에 한자를 표기하고, 그 다음 줄부터 아래로 일본어 한자음, 해당 한자의 한국어 뜻과 음, 해당 일본어 단어를 각각 한글로 기록하였다. 한글 표기 오른쪽에는 알파벳으로 발음을 전사해 놓았다.
‘왜어유해(倭語類解)’ 편에서는 일부 단어를 일부러 제외했는데, 상권에서는 생식기를 지칭하는 ‘양물(陽物), 음부(陰囊), 음문(陰門)’을 제외했고 하권에서는 ‘일본관명(日本官名)’과 ‘신행소경지명(信行所經地名)’을 제외하였다.
‘천자문(千字文)’ 편에서는 맨 윗줄에 영어 단어, 다음 줄에 한자, 그 다음 줄에 한자의 한국어 뜻과 음을 한글로 기록하였고, 한글 표기의 오른쪽에는 알파벳으로 발음을 전사해 놓았다. 이 책에 반영된 천자문은 석봉천자문(石峰千字文)이며 누락된 한자는 없다.
‘전본한자의부목록(全本漢字依部目錄)’에서는 ‘왜어유해(倭語類解)’와 ‘천자문(千字文)’에 수록된 한자어를 부수와 획수를 이용해 찾을 수 있도록 목록화하였다. 한자어 밑에는 해당 페이지와 행(行)이 표시되어 있는데, 특이하게도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지 않고 소주 상인(蘇州 商人)들이 장부에 기입할 때 사용하던 숫자를 사용하였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