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상태 좋습니다. 큰책
더 궁금하시면
남문서점(031-258-8425)으로 전화주십시오.
조선시대 때의 무신, 천만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3년에 간행한 시문집.
1846년(헌종 12) 김익동(金翊東)이 편집하여 1903년에 처음 간행되었고, 1959년에 중간되었다. 권두에 송우진(宋宇鎭)의 서문과 이휘령(李彙寧)·윤용선(尹容善)의 구서(舊序)가 있고, 권말에 김익동·김두동(金斗東)·최익현(崔益鉉) 등의 발문이 있다.
권1의 시 44수, 자서(自敍) 1편, 유필(遺筆) 1편만이 저자의 유문(遺文)이며, 나머지는 모두 부록으로 권1∼3에 산재되어 있다. 권1의 부록에는 송환기(宋煥箕)의 「서자서후(書自敍後)」를 비롯하여 화상찬·제문·유사·행장·신도비명·상향축문·유림상소 등이 실려 있고, 권2에는 동정사실(東征事實), 선묘조어찰(宣廟朝御札) 6편, 임진동정문무제장록(壬辰東征文武諸將錄)·정유동정문무제장록이 실려 있다. 권3은 저자의 아들 천상(千祥)의 『오헌공유고(聱軒公遺稿)』로 시 19수와 문(文) 5편, 부록이 실려 있다.
시에는 「회고국(懷故國)」·「봉춘회고(逢春懷古)」·「추야청안(秋夜聽雁)」·「등금강산회고국(登金剛山懷故國)」·「사귀감음(思歸感吟)」 등과 같이 지난날을 그리워하거나 고향에 돌아가고 싶은 심회를 읊은 시제가 많다. 이러한 시제가 아닌 시에도 만리객(萬里客)·타방객(他邦客)·동토객(東土客) 등의 시어를 자주 쓰고 있다. 정유재란이 끝난 뒤에 환국하지 않고 머물러 살면서도 고국을 그리워하는 시정이 어쩔 수 없이 표출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저자의 시 다음에는 그에 화답하거나 차운한 다른 사람의 시 25수가 실려 있다. 작자는 이여매(李如梅)·오유충(吳惟忠)·시등과(柴登科)·이여백(李如栢) 등 중국인과 이항복(李恒福)·김상용(金尙容)·김상헌(金尙憲)·이덕형(李德馨) 등이다. 참전까지의 모든 경위가 비교적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