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집 속집 권지1.권지2 한책 栗谷集 續集 卷第一, 卷第二 한책 > 고서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율곡집 속집 권지1.권지2 한책 栗谷集 續集 卷第一,  卷第二 한책
    율곡집 속집 권지1
    1,000,000
  • 원두막언저리 - 저자서명본 / 조당래 / 서문당 / 1978년 초판 / 121페이지
    원두막언저리 - 저
    10,000
  • 사대학보 창간호 / 서울대사범대 / 1954년 초판 / 199페이지
    사대학보 창간호 /
    40,000
  • 김교신전집 1~6 전6권 완질 350부 한정판 / 1988년 초판 / 일심사
    김교신전집 1~6
    60,000
  • 이조실록 1~56 전56권 완질 태조에서 순종까지 일본학습원에서 영인한 오대산본
    이조실록 1~56
    0
  • 문학기행
    문학기행
    20,000
  • 노평구전집 1~11 전11권 /1997-8년 / 시골문화사
    노평구전집 1~11
    100,000
  • 임헌회전집 1~5 전5권 완질 영인본 / 1985년 초판 / 아세아문화사
    임헌회전집 1~5
    90,000
  • 왕성의길
    왕성의길
    10,000
  • 국역주해 반계수록 2
    국역주해 반계수록
    40,000
  • 청년 찬송가
    청년 찬송가
    100,000
  • the marked bible 1928년
    the marked
    100,000
  • 1988~1993 노동판례 상.중.하 전3권 완질
    1988~1993
    50,000
  • 한국고대사회연구
    한국고대사회연구
    8,000
  • 불묘경(묘법연화경) 필사본 / 일제강점기초반추정 / 노루지 겹장84장(168페이지)
    불묘경(묘법연화경)
    300,000
  • 난중일기초 임진장초 1935년판 영인본
    난중일기초 임진장초
    20,000
  • 졸고천백 영인본
    졸고천백 영인본
    20,000
  • 啓蒙篇諺解 계몽편언해 겹장13장 판행이 아주 좋아보임 내눈에는 활자본으로 보임
    啓蒙篇諺解 계몽편언
    300,000

커뮤니티 최신글

접속자집계

오늘
1,906
어제
3,487
최대
6,429
전체
3,861,232
율곡집 속집 권지1.권지2 한책 栗谷集 續集 卷第一, 卷第二 한책 > 고서


율곡집 속집 권지1.권지2 한책 栗谷集 續集 卷第一, 卷第二 한책 요약정보 및 구매

권지1 권지2 한권 입니다. 목차 겹장본 12장, 권지1 겹장본 29장, 권지2 겹장본 37장으로 되어있음. 활자본 같은데 어떤 활자본인지는 지식이 없어 모르겠습니다.

출판사 조선시대활자본
원산지 조선서대
출간일자 조선중기
책장 창고방22-1
판매가격 1,000,000원
포인트 50,00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상품의 재고가 부족하여 구매할 수 없습니다.

상품 정보

상품 기본설명

권지1 권지2 한권 입니다. 목차 겹장본 12장, 권지1 겹장본 29장, 권지2 겹장본 37장으로 되어있음. 활자본 같은데 어떤 활자본인지는 지식이 없어 모르겠습니다.

상품 상세설명

정확한 간행년도는 모르겠습니다. 목차부분 두 페이지 따라쓴 흔적 사진참조

대체적으로 양호한 편인데 사진참조 바랍니다.


시집은 박지화(朴枝華) 등이 편집하고, 문집은 박여룡(朴汝龍) 등이 성혼(成渾)의 도움을 받아 편집해 1611년(광해군 3)에 해주에서 목판으로 발간한 것이 최초의 ≪율곡집≫인데, 그것은 시집 1권과 문집 9권으로 된 적은 분량이었다.

여기에는 누락된 것이 많았으므로 1682년(숙종 8) 박세채(朴世采)가 빠진 것들을 모아 속집 4권, 별집 4권, 외집 2권을 편집, 간행하였다. 위의 제본(諸本)은 모두 이이의 중형(仲兄)인 번(璠)이 기록해 놓았던 초본(草本)을 토대로 여러 사람들이 보관하고 있었던 기록들을 모아 엮은 것이었기 때문에 체재가 일관적이지 못하였다.

그래서 1742년(영조 18) 이재(李縡)가 이이의 5대손인 진오(鎭五) 등과 상의해 시집·문집·속집·외집·별집을 한데 합하고, ≪성학집요≫·≪격몽요결≫ 등을 첨가해 1749년 ≪율곡전서≫라는 이름으로 바꾸어 간행하였다. 이것은 활자본으로서 총 23권 38책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 1814년(순조 14) 다시 습유(拾遺) 6권과 부록의 속집이 부가되어 해주에서 중간되었는데, 비로소 44권 38책에 이르는 현재의 ≪율곡전서≫가 완성을 보게 되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42085e28a33ac84bc9045cec0917d22_1644868579_1308.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11_1584.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11_2056.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11_2774.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11_3213.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11_3704.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11_4143.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11_4634.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11_5137.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21_9729.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22_0244.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22_0876.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22_1293.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22_1763.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22_2137.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22_2553.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22_2998.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22_344.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22_3869.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32_5095.jpg
1fd33b40fb846aaee1bee5384a1b6e15_1633045032_5543.jpg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자유부인 상.하 전2권 완질
저자 정비석
출판사 정음사
크기 상품페이지 참고
쪽수 상품페이지 참고
제품구성 상품페이지 참고
출간일 1954년 초판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페이지 참고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배송 안내 입력전입니다.

교환/반품

교환/반품 안내 입력전입니다.

회사명 남문서점 주소 화성시 봉담읍 안당하리길 8-13
사업자 등록번호 135-90-43984 대표 윤한수 전화 031-258-842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경기수원-356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윤한수
Copyright © 2001-2013 남문서점.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031-258-8425

월-금(공휴일제외) am 10:00 - pm 6:00
점심시간 : am 12:00 - pm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