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과환보 상.하 전2권 완질 영인본 > 역사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조선과환보 상.하 전2권 완질 영인본
    조선과환보 상.하
    80,000
  • 소오문장선
    소오문장선
    50,000
  •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
    사정한 조선어 표준
    0
  • 산동경내북조마애각경전집
    산동경내북조마애각경
    35,000
  • 낭선군 이우의 서예 조선후기 명필의 재발견 2 / 한신대학교박물관
    낭선군 이우의 서예
    10,000
  • 월남선생일화집
    월남선생일화집
    30,000
  • 김천의 마을과 전설 - 개정증보판
    김천의 마을과 전설
    10,000
  • 세이켄지소장 조선통신사 유물도록
    세이켄지소장 조선통
    15,000
  • 한글만 쓰기의 주장 - 그 반대론자의 의혹을 풀어밝힘
    한글만 쓰기의 주장
    10,000
  • 불비상 - 염원을 새기다
    불비상 - 염원을
    10,000
  • 예서대자전 隸書大字典
    예서대자전 隸書大字
    30,000
  • 朝鮮巫俗の硏究 下 조선무속의연구 하 / 1938년판 영인본 / 595페이지(이중 도판106페이지)
    朝鮮巫俗の硏究 下
    30,000
  • 한국고전문학전집 1~8 전8권 완질
    한국고전문학전집 1
    24,000
  • 역해 자치통감 상.중.하 전3권 완질
    역해 자치통감 상.
    25,000
  • 창안에 창밖에 / 조병화 / 열화당 / 1978년 초판
    창안에 창밖에 /
    10,000
  • 고전소설 제6집 六美堂記 육미당기 1.2.3 전3권 완질 영인본
    고전소설 제6집 六
    90,000
  • 조선 묘지명 1.2 전2권 완질
    조선 묘지명 1.2
    40,000
  • 서산군유림대회강연록 1939년
    서산군유림대회강연록
    30,000
  • 시문독본 / 최남선 / 신문관 / 표지낙장 판권낙장 한장반 낙장 / 상세정보 사진참조
    시문독본 / 최남선
    60,000
  • 대불전 1.2.3 전3권 완질
    대불전 1.2.3
    80,000
  • 겸재정선 전3권 완질
    겸재정선 전3권 완
    300,000
  • 용천동굴의신비
    용천동굴의신비
    10,000
  • 창덕궁 - 조선의 시간을 거닐다
    창덕궁 - 조선의
    12,000
  • 박두진전집 1~10 전10권 완질 / 범조사 / 1982년~1984년 발행
    박두진전집 1~10
    200,000
  • 마음으로 그린 꿈 역사로 이어지고 도면에 담긴 우리건축 / 수원화성박물관 / 2011년 초판 / 239페이지
    마음으로 그린 꿈
    20,000

커뮤니티 최신글

접속자집계

오늘
3,484
어제
2,357
최대
6,429
전체
3,859,323
조선과환보 상.하 전2권 완질 영인본 > 역사

리뷰 0 위시 75

조선과환보 상.하 전2권 완질 영인본 요약정보 및 구매

오성사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출판사 오성사
책장 창고1-8 알.예
판매가격 80,000원
포인트 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최대구매수량 1 개

선택된 옵션

  • 조선과환보 상.하 전2권 완질 영인본
    +0원
위시리스트

상품 정보

상품 기본설명

오성사

상품 상세설명

세월의 흔적으로 인한 변색 때묻음 있음

큰책 입니다. 

내용

편찬자는 남주원(南㴤元)이며, 편찬 시기는 1914년이다. 모두 8책이며,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서문은 박영효(朴泳孝)가 썼다.

그 서문에 “우리나라에는 문·음·무·삼보(三譜)가 있었다. 이는 관직의 계급과 씨족의 동이(同異)를 알 수 있는 것으로서, 명현(名賢)을 존상(尊尙)하는 뜻을 담은 것이었다. 다만 최근에는 문과와 무과가 폐지되고 음로(蔭路)만이 있을 뿐이다. 이 때문에 관안(官案)을 만드는 자도 없으니 하물며 보에 있어서랴. 남주원씨는 이것을 염려해 위로 선계(璿系)의 봉작(封爵)으로부터 아래로는 사서인의 관직에 이르기까지 지난날 삼보의 명현을 뽑고 근대의 인물까지 수록해 비록 희성 벽관과 미관말직이라도 빠뜨리지 않고 모두 수록하였다. 책이름은 비록 조선과환보라 했으나 그 넓은 범위는 바로 만성보(萬姓譜)에 해당하고 세계(世系)의 자세함은 한 가보라 할 수 있다.”라고 하여 이 기록의 동기와 목적을 밝히고 있다.

이 책은 각기 성씨에 따라 본관별로 과환을 수록하였다. 별책의 한 책은 역대 국계(國系)와 관제(官制)를 수록하였다. 성씨 배열에 있어서는 서문에서 “옛날의 박, 석, 김 3성과 이, 김, 최, 안, 정, 박의 6성은 역대 이래로 지금까지 전해 오며 세상에 이름이 나 있다.”라고 밝히고 있듯이 이, 김, 최, 안, 정, 박 등 대성(大姓)의 순서로 하였다.

문과를 제외한 일부는 각 가문이 수보한 단자(單子)에 의거해 기록해서 혹 누락된 것도 없지 않을 것이다. 물론 일차적인 자료는 관찬 사료를 위주로 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범례를 보면, 문과는 내각의 등본에 따르고 각 가문의 단자를 준거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무과편은 등단(登壇)과 훈공이 있는 사람만을 상세히 기록했고 나머지는 간략히 하였다. 음사편은 음직만을 수록하지 않고 삼반(三班)의 관직을 합록했는데 이는 세계를 밝히기 위해서였다고 밝히고 있다.

관직의 기록은 판서를 판, 참판을 참, 참의를 의, 정랑을 정, 좌랑을 좌, 동지중추를 동추, 사복시정을 복정이라 하는 등 약칭하였다. 각 성씨의 세계는 혹 조상이 중복되거나 형제의 순서가 뒤바뀌기도 하는 등 오류가 발견되기도 한다. 성이 같으나 본관이 다르면 가문의 성쇠를 따지지 않고 각기 뒤에 실었으며, 선행에 관한 기록은 주기(註記)하였다. 출처 - 한국민족대백과사전

3e663e2709ed0b43c3eb70c772e7fee6_1687222630_0004.jpg
3e663e2709ed0b43c3eb70c772e7fee6_1687222630_0255.jpg
3e663e2709ed0b43c3eb70c772e7fee6_1687222630_0567.jpg
3e663e2709ed0b43c3eb70c772e7fee6_1687222630_0861.jpg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조선과환보 상.하 전2권 완질 영인본
저자 상품페이지 참고
출판사 오성사영인
크기 큰책
쪽수 1640
제품구성 상품페이지 참고
출간일 상품페이지 참고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페이지 참고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배송 안내 입력전입니다.

교환/반품

교환/반품 안내 입력전입니다.

회사명 남문서점 주소 화성시 봉담읍 안당하리길 8-13
사업자 등록번호 135-90-43984 대표 윤한수 전화 031-258-842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경기수원-356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윤한수
Copyright © 2001-2013 남문서점.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031-258-8425

월-금(공휴일제외) am 10:00 - pm 6:00
점심시간 : am 12:00 - pm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