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번째 책은 얼룩이 많음 상세정보 사진참조
가로21센티 세로32센티
내용
4권 2책. 목판본. 1922년 조성현(趙性玹)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필영(柳必永)의 서문이, 권말에 조성락(趙性洛)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은 시 74수, 권2는 서(書) 51편, 권3은 잡저 1편, 서(序) 2편, 기(記) 1편, 발(跋) 7편, 명(銘) 5편, 뇌문(誄文) 7편, 축문 3편, 제문 17편, 광기(壙記) 1편, 유사 6편, 권4는 부록으로 만사·뇌사·제문·행장·유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대부분 만시(挽詩)이나 오언·칠언과 육언의 잡체시도 보인다. 「상시(傷時)」는 국권이 상실된 시기의 지식인의 고뇌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서(書)는 유원직(柳元直)·최국언(崔國彦) 등에게 보낸 것인데, 이기(理氣)에 대한 내용이 주종을 이룬다. 그 중 「답서중온별지(答徐仲蘊別紙)」는 저자의 사상체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글이다.
잡저 「회간예설(晦磵囈說)」은 철학과 일상생활에 대한 것을 경구로 제시해놓은 글이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도서명 | 자유부인 상.하 전2권 완질 |
---|---|
저자 | 정비석 |
출판사 | 정음사 |
크기 | 상품페이지 참고 |
쪽수 | 상품페이지 참고 |
제품구성 | 상품페이지 참고 |
출간일 | 1954년 초판 |
목차 또는 책소개 | 상품페이지 참고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