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암집 1~8 전8권 완질중 8번 낙권 현7권 영인본 / 최익현 / 청양군 / 2006년 > 역사

본문 바로가기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회원로그인

오늘 본 상품

  • 면암집 1~8 전8권 완질중 8번 낙권 현7권 영인본 / 최익현 / 청양군 / 2006년
    면암집 1~8 전8
    70,000
  • 조선시대초상화 1.2.3 전3권
    조선시대초상화 1.
    120,000
  • 한시외전 全 영인본
    한시외전 全 영인본
    20,000
  • 역대 대한민국미술대전 서예도록 1~6 전6권 완질
    역대 대한민국미술대
    60,000
  • 렌즈속 엇갈린 시선들 / 옛 수원 사진전 1900-1960년 / 수원박물관 / 2013년
    렌즈속 엇갈린 시선
    22,000
  • 경기도박물관 명품선
    경기도박물관 명품선
    30,000
  • 대학 중용 부 언해 전 영인본
    대학 중용 부 언해
    20,000
  • 류연복 목판화 온몸이 길이다 / 진천군립생거판화미술관 / 2019년
    류연복 목판화 온몸
    25,000
  • 사기회주고증 - 중국어표기
    사기회주고증 - 중
    40,000
  • 원본 국어국문학총림 21 - 원본 은중경언해 지장경언해 여씨향약언해
    원본 국어국문학총림
    30,000
  • 한글판 초사집주 全
    한글판 초사집주 全
    20,000
  • 한국해금문학전집 1~18 전18권 완질
    한국해금문학전집 1
    90,000
  • 日本の水産 鮪 일본의수산 다랑어
    日本の水産 鮪 일본
    50,000
  • 汉字形义分析字典 한자형태학의미분석자전 / 북경대학출판사 / 2000년 / 736페이지
    汉字形义分析字典 한
    30,000
  • (國譯) 竦溪先生文集 국역 송계선쟁문집 전5권 세트 완질 원문영인 있음
    (國譯) 竦溪先生文
    70,000
  • 한국현대소설이론자료집 1차9권 2차20권 3차12권 3차분까지 41권 완질 1907~1950년6월까지
    한국현대소설이론자료
    820,000
  • 경서(經書)
    경서(經書)
    15,000
  • 证类本草 정류본초 중국어표기
    证类本草 정류본초
    20,000
  • 국역 허주유고 원문영인포함 / 이종악 / 임청각 / 2008년 초판본 / 330페이지
    국역 허주유고 원문
    13,000
  • 韓國史論 한국사론 1~17 전19권
    韓國史論 한국사론
    100,000
  • 대학삼강팔목잠 성리연원촬요 진일재선생유집 1책 합본 영인본
    대학삼강팔목잠 성리
    15,000
  • 신중의 1984년 합본호 중국어표기
    신중의 1984년
    20,000
  • 런던에서온 비밀전보 1962년 통화개혁의 숨은 이야기
    런던에서온 비밀전보
    20,000
  • 中国药膳大辞典 중국약성대사전 중국어표기
    中国药膳大辞典 중국
    20,000
  • 저본집성 왜어유해 해설 국어색인 본문영인
    저본집성 왜어유해
    50,000
  • 日本の水産 烏賊 일본의수산 오징어
    日本の水産 烏賊 일
    40,000
  • 일본각판 이퇴계전서 상.하 전2권 완질 영인본
    일본각판 이퇴계전서
    40,000
  • 단권 성경주석 1949년 5판
    단권 성경주석 19
    0
  • 갑골문자전을겸한 갑골문해독
    갑골문자전을겸한 갑
    60,000
  • 임나국과대마도
    임나국과대마도
    15,000
  • 원본 국어국문학총림 26 - 원문 고기사집성
    원본 국어국문학총림
    30,000
  • 一山遺稿 일산유고 권지 1.2.3 상.하 전2권 완질
    一山遺稿 일산유고
    50,000
  • 극비 일본의한국침략사료총서 2차분 11-20 전10권 완질
    극비 일본의한국침략
    350,000
  • 상한론역전 부 임상응용
    상한론역전 부 임상
    20,000
  • 한국근대사상총서 김옥균전집
    한국근대사상총서 김
    30,000
  • 주역 부 언해 원 형 이 정 전4권 완질 영인본
    주역 부 언해 원
    100,000
  • 한국의사지 상.하전2권 완질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강원도 전라북도
    한국의사지 상.하전
    50,000
  • 한국잡가전집 전4권 완질 영인본
    한국잡가전집 전4권
    0
  • 간송문화 제83호 명청시대회화 / 한국민족미술연구소 / 2012년 / 156페이지
    간송문화 제83호
    10,000
  • 수원 산루리의 독립영웅들 독립운동가 이선경 순국 100주년 기념 테마전 / 수원박물관 / 2021
    수원 산루리의 독립
    15,000
  • 나한 - 구도와 깨달음의 성자
    나한 - 구도와 깨
    15,000
  • 성본대학 - 철필본(등사본)
    성본대학 - 철필본
    50,000
  • 문학이란 어떠한 것일가 - 창작강좌 제1권
    문학이란 어떠한 것
    30,000
  • 근사록 全 영인본
    근사록 全 영인본
    20,000
  • 활터 조사보고서 cd한장포함
    활터 조사보고서 c
    20,000
  • 설명이 있는 초서자전
    설명이 있는 초서자
    50,000
  • 백제와전 - 기와에 담긴 700년의 숨결
    백제와전 - 기와에
    20,000
  • 한국시문학전집 1~5 전5권 완질 영인본 장미촌, 금성, 신시단 등등
    한국시문학전집 1~
    150,000
  • 우리말 큰사전 상.하 전2권 완질
    우리말 큰사전 상.
    60,000
  • 의심방 중국어표기
    의심방 중국어표기
    20,000
  • 조선지지자료 경기도편외 전7책 복사본
    조선지지자료 경기도
    100,000
  • 후광 김대중 대전집 전15권 완질
    후광 김대중 대전집
    45,000
  • 발해사의 이해
    발해사의 이해
    5,000
  • 율곡전서1.2 전2권 완질 영인본
    율곡전서1.2 전2
    30,000
  • 해우재와 미스터 토일렛 심재덕 / 2011년 초판 / 해우재
    해우재와 미스터 토
    13,000
  • 중의외과상과명저집성 중국어표기
    중의외과상과명저집성
    25,000
  • 서소문별곡 동소문별곡 전2권 완질 / 서울역사박물관 / 2014
    서소문별곡 동소문별
    30,000
  • 李时珍医学全书 이시진의학전서 명청명의전서대성
    李时珍医学全书 이시
    40,000
  • 신주해 본초강목 1~17 전17권 완질 미사용 도서 입니다.
    신주해 본초강목 1
    0
  • 의안의화의론명저집성 중국어표기
    의안의화의론명저집성
    20,000
  • 한국근대사상총서 황현 전집 상.하 전2권 완질 영인본
    한국근대사상총서 황
    60,000
  • 필사대관 한국역대명사666인의 필적과 그의 경세사- 편자서명본
    필사대관 한국역대명
    50,000
  • 日本の水産 鯛 일본의수산 도미
    日本の水産 鯛 일본
    50,000
  • 중문대사전 1~10 전10권 완질-중국어표기
    중문대사전 1~10
    300,000
  • 이조실록 225 광해군 12년 4월에서 13년 10월
    이조실록 225 광
    10,000
  • 한국구비문학대계 7-16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군편 2
    한국구비문학대계 7
    10,000
  • 민화
    민화
    15,000
  • 대한연감 1958년판 책배에 장서인 있음
    대한연감 1958년
    30,000
  • 日本の水産 견鯖 일본의수산 청어
    日本の水産 견鯖 일
    40,000
  • 만주역사지리 상.하 전2권 완질 영인본
    만주역사지리 상.하
    100,000
  • 간다라 미술
    간다라 미술
    12,000
  • 현토완역 주서백선
    현토완역 주서백선
    25,000
  • 한국구비문학대계 2-8 강원도 영월군편(1)
    한국구비문학대계 2
    10,000
  • 조선기독교급외교사 - 영인본 이능화전집 제3집
    조선기독교급외교사
    30,000
  • 한국구비문학대계 7-10 경상북도 봉화군편
    한국구비문학대계 7
    10,000
  • 조선시대의 민화 1~6 전6권 완질
    조선시대의 민화 1
    220,000
  • 1963년 한국출판연감
    1963년 한국출판
    30,000
  • 한국경학자료집성 35~48 맹자 전14권 완질
    한국경학자료집성 3
    280,000
  • 한국도자사
    한국도자사
    8,000
  • 한글바로적기공부
    한글바로적기공부
    20,000
  • 한국구비문학대계 7-13  대구직할시편
    한국구비문학대계 7
    10,000

커뮤니티 최신글

접속자집계

오늘
3,294
어제
2,357
최대
6,429
전체
3,859,133
면암집 1~8 전8권 완질중 8번 낙권 현7권 영인본 / 최익현 / 청양군 / 2006년 > 역사


면암집 1~8 전8권 완질중 8번 낙권 현7권 영인본 / 최익현 / 청양군 / 2006년 요약정보 및 구매

책면에 때묻음 조금 사진참조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출판사 청양군
출간일자 2006년
책장 창고104위 남알
판매가격 70,000원
포인트 3,50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선택된 옵션

  • 면암집 1~8 전8권 완질중 8번 낙권 현7권 영인본 / 최익현 / 청양군 / 2006년
    +0원
위시리스트

상품 정보

상품 기본설명

책면에 때묻음 조금 사진참조

상품 상세설명

면암 최익현선생의 문집 영인본 입니다.

아쉽게 마지막권 8권이 낙권 입니다.

때묻음 조금외 책상태 좋습니다.


더 궁금하시면

남문서점(031-258-8425)로 연락주십시오

감사합니다.


4824. 목판본. 초간본은 최익현이 일본 대마도(對馬島) 옥중에서 순국한 지 2년 뒤인 1908년 봄에 맏아들 영조(永祚)를 중심으로 문인 이재윤(李載允) · 고석진(高石鎭) · 조우식(趙愚植) 30여명에 의해 편집, 같은 해 11월 정산(定山)에서 4623책으로 된 면암집이 완성 300여 질이 간행되었다.

 

이 초간본을 무신본(戊申本)이라고 한다. 일본 통감부(統監府)는 이 문집의 간행 사실을 탐지하고, 헌병 1개 소대를 동원해 간행소를 습격, 시문집을 샅샅이 조사해 일제를 성토한 내용이 있는 부분과 이에 해당되는 목각판까지 강제로 압수해갔다.

 

이같은 일제의 만행으로 낙장된 권수는 소 3· () 8· 잡저 1· 부록 4권으로 통합 16권이었다. 그러나 다행히도 무신본 완질(完帙) 60여 질이 남아 있어서 비밀리에 전해왔으나 희귀본이 되었다.

 

이 무신본에는 김윤동(金潤東) · 이영호(李榮鎬) · 조동린(趙東麟) 등 후학 문인의 발()과 손자 용식(龍植) · 증손 병하(炳夏)의 발이 있다.

 

초간본이 화를 입은 지 20여 년이 지난 1929년에 조선총독부의 허가를 받아 문인 조우식 · 박재식(朴在湜) 등이 중심이 되어 낙장 부분의 보충과 무신본에 빠진 자료를 다시 수집해 편집을 시작, 3년의 각고 끝에 1931년 간행되었다. 이것이 신미본(辛未本)으로 알려진 두번째의 면암집이다. 신미본은 무신본에 속집 21책을 다시 첨가한 것으로서 최근까지 유포되고 있는 4824책본이다.

 

본집 권1 · 2에는 시() 303, 35에는 소 30, 615에는 서() 452, 16에는 잡저 53, 1719에는 서() 101, 2022에는 기 87, 23 · 24에는 발 68, 3, () 1, 고축(告祝) 12, 제문 7, 25에는 비() 12, 신도비(神道碑) 11, 2630에는 묘갈 137, 3134에는 묘표(墓表) 146, 35 · 36에는 묘지(墓誌) 46, 3739에는 행장(行狀) 55, 40에는 유사(遺事) 2, () 7편 등이 실려 있다.

 

속집 권1에는 시 17, () 87, 2에는 서() 7, 잡저 4, () 3, 9, 신도비 1, 묘갈 2, 묘표 10, 3에는 시 10, () 58, 잡저 10, () 3, 12, 4에는 발 3, 제문 1, 행장 2, 유사 1, 부록 권14에는 연보(年譜) 등으로 구성되었다.

 

내용 중에는 서() · () · · · 찬 등 일반체의 글과 고축 · 제문 등 제례문, 그리고 비 · 신도비 · 묘갈 · 묘표 · 묘지 · 행장 · 유사 · 전 등 천선(闡先)의 글과 정치론으로서의 상소문, 기타 일반 저술인 잡저 등 다채롭고 광범위하게 편집되어 있다.

 

이 가운데에서도 유익하고 뜻 있는 글은 상소문과 잡저가 으뜸이고, · ()가 이에 버금간다. 소에는 1866(고종 3) 병인양요 직전에 올리려 했던 초안의 병인의소(丙寅擬疏)를 비롯해 무려 29편과 임병찬소(林炳瓚疏)를 합쳐 30편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주목되는 상소문은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비정을 규탄한 1868(고종 5)장령시언사소(掌令時言事疏)와 그를 하야하게 한 1873113일에 올린 유명한 사호조참판겸진소회소(辭戶曹參判兼陳所懷疏)가 있다.

 

지부복궐척화의소(持斧伏闕斥和議疏)1876년에 체결된 병자수호조약의 부당성을 오불가론(五不可論)으로 지적, 조약을 반대한 우국충정이 담겨져 있는 애국적인 상소문이다.

 

청토역복의제소(請討逆復衣制疏)1895년에 발표된 단발령의 야만성을 규탄한 상소문이다. 1896년에 올린 진회대죄소(陳懷待罪疏)는 배일(排日) 구국을 강조한 상소문이다.

 

1905년 을사조약 체결을 전후해 올린 피왜압축고귀소( 被倭押逐告歸疏)를 비롯한 궐외대명소(闕外待命疏)청토오적소(請討五賊疏)는 일제의 침략만행을 규탄, 성토하고, 이에 동조한 반역자들의 처벌을 예리하고도 준엄하게 전개한 상소문들이다.

 

1906411일의 창의토적소(倡義討賊疏)와 순국 직전(711)에 일본 대마도 배소에서 문인 임병찬에게 구술한 유소(遺疏)는 일제의 야만적인 침략으로 위기에 빠진 국운을 구하기 위해서는 상소와 같은 평화적인 방법으로서는 불가함을 깨닫고, 70고령에도 불구하고 의병을 일으켜 항일투쟁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구국충정과 그 굳은 결의를 담은 상소문이다.

 

이들 상소문은 한말의 정치 상황과 위정척사론자들의 정신 자세 및 일제의 악랄한 침략만행 등 한말 정치사 연구는 물론 한말 사상사 · 정신사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이다.

 

잡저 가운데 탐적전말(耽謫顚末)계유상소(癸酉上疏)사호조참판겸진소회소가 명성황후의 사주에 의한 것이 아님을 주장하면서 상소의 동기와 전말을 명백히 기술함으로써 종래의 의혹을 일소한 자료로 주목된다.

 

항양만록(恒陽慢錄)은 스승 이항로(李恒老)의 성리학 이론을 계승한 사상적 저술이다. 문일지십문일지이설(聞一知十聞一知二說)· 이능문어불능설(以能問於不能說)· 서시고청여석진(書示高淸汝石鎭)등도 성리학 이론에 관한 사상적 저술이다. 학문적 업적이 비교적 적은 최익현의 학문적 업적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이 문집에는 창의 당시 반포된 포고문들이 수록되어 있다. 전 국민에게 창의에 궐기할 것을 호소한 포고팔도사민(布告八道士民)을 비롯해 창의격문(倡義檄文)· 노성궐리사서고조약(魯城闕里祠誓告條約)과 일제의 기신배의죄상(棄信背義罪狀)16조항으로 열거, 규탄한 기일본정부서(寄日本政府書)등이 있다. 이 잡저는 최익현의 사상과 한말의 위기 상황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이다.

 

시편은 문인 · 묵객 같은 화려함은 없으나, 그의 파란만장한 70평생의 구국일념을 읊은 330여 수의 시들로서 매우 소중한 것들이다.

 

시 가운데 제주도로 유배되었을 때 지은 별이도사(別李都事)와 흑산도 유배시 지은 등우이구호(等牛耳口號)는 유배지에서의 감회를 읊은 것이다. 피수일옥구호(被囚日獄口號)는 의거 실패 후 일본 대마도 옥중에서 구국제민을 다 못한 울분을 읊은 애국시이다.

 

일옥중묵회오절(日獄中默會五絶)은 문인들이었던 순창십이의사(淳昌十二義士)에게 남긴 시들이다. 대마도수관증선래구인(對馬島囚館贈先來九人)도 홍주구의사를 격려한 애국적인 시편이다.

 

서에는 상() · () · () · () 등의 형식으로 600여 통이 수록되어 있다. 상화서이선생(上華西李先生)· 상기노사(上奇蘆沙)· 상임고산(上任鼓山)· 상김중암(上金重菴)등은 당대의 석학들과의 주고받은 서한이다.

 

창의준비기에 주고받은 여민의정(與閔議政(泳奎))· 답이성일(答李聖一(道宰))· 여이승지(與李承旨(載允))· 여이참판(與李參判(南珪))· 답곽참찬(答郭參贊(鍾錫))등은 의병 연구의 자료로서 귀중할 뿐 아니라, 항시 스승과 선배의 교훈을 계승, 실천하고 후배의 계도에도 힘을 쓴 인간 최익현 연구에도 좋은 자료이다.

 

· 신도비 · 묘갈 · 묘표 · 묘지 · 행장 · 유사 · 전 등의 글은 450여 편이 수록되어 있어 서() 다음으로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이 글들은 사우(士友)나 연원제가(淵源諸家)의 청문(請文)에 의해 쓴 것으로서, 특히 신도비문에는 이항로와 기정진의 신도비명을 비롯해 유희춘(柳希春)의 신도비명은 유명하다.

 

끝으로 부록 4권에는 최익현의 행적을 편년체로 기록한 상세한 연보(年譜)가 수록되어 있다.

 

면암집과는 별도로 그 축소판이라고도 할 수 있는 일성록(日星錄)52책 목판본이 1931년 간행되었다. 1976년 면암선생기념사업회에서 영인, 간행하였다. 이 책은 현재 충청남도 청양 모덕사(慕德祠)에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상품 정보 고시

도서명 최익현선생의 면암집 현7책 마지막권 낙권
저자 최익현
출판사 청양군
크기 상품페이지 참고
쪽수 3500
제품구성 상품페이지 참고
출간일 2006년
목차 또는 책소개 상품페이지 참고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배송정보

배송 안내 입력전입니다.

교환/반품

교환/반품 안내 입력전입니다.

회사명 남문서점 주소 화성시 봉담읍 안당하리길 8-13
사업자 등록번호 135-90-43984 대표 윤한수 전화 031-258-842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경기수원-356호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윤한수
Copyright © 2001-2013 남문서점.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031-258-8425

월-금(공휴일제외) am 10:00 - pm 6:00
점심시간 : am 12:00 - pm 01:00